교육과정
HRD 역량향상
HRD 역량향상
조직 내 인적 자원의 능력을 개발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입니다.
이를 통해 직원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강사양성 향상 과정
교육특징
• 학습동기 강화, 멀티미디어 활용, 다양한 교수기법 활용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집중적 교육이 이루어 집니다.
• 강의 경험이 있는 모든 강사들을 대상으로 고급 강의스킬을 전수하는데 포인트를 두고 개발된 과정입니다.
학습목표
• 학습자의 동기를 파악하고 강화하는 동기부여이론 및 실무 기법을 학습한다.
• 고급화된 교수법과 교수매체 활용기법을 학습하여 실제 강의에 적용하고 활용한다.
학습로드맵
- 학습동기 유도 및 강화기법 학습
- 디지털 교수매체 활용기법 학습
- 고급 교수법 학습
- 실습 & 개인별 피드백
Module | 세부내용 | 방법 | |
---|---|---|---|
학습동기 강화하기 | 학습동기 파악기법 |
• 동기와 학습동기의 이해 • Expectation 파악을 통한 학습자 요구 파악기법 |
강의 토의 실습 |
학습동기 강화기법 |
• ARCS Model을 이용한 학습동기 강화기법 • 동기유발 실습 |
토의 실습 피드백 |
|
멀티미디어 활용하기 | 멀티미디어 자료의 확보 |
•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강의기법 유형 • 멀티미디어 자료의 확보 (그림, 사진, 음원, 영상) • 멀티미디어 자료의 제작 (유형별 편집 Tool의 활용) |
강의 Windows panning |
멀티미디어 자료의 활용 |
• 멀티미디어 유형별 교육생의 특성을 반영한 교수기법 •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강의기법 실습 |
강의/토의 | |
매력적인 강의식 교수법 | 강의식 교수법의 매력 |
• 매력적인 강의를 위한 조언 • 매력적인 강의를 위한 PST(Photo Story Telling) 기법 |
강의/토의 |
강의식 교수법 실습 |
• PST 자료 작성 • PST 실습 |
실습/피드백 | |
흥미진진 참여식 교수법 | 강의 활성화 교수기법 |
•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는 교수기법의 유형 (R/P, 체험형, 게임형) • 유형별 VIP(Very Important Point) |
강의/토의 |
교수기법 실습 |
• R/P 교수법 실습 및 피드백 • 체험형 교수법 실습 및 피드백 • 게임형 교수법 및 피드백 |
실습/피드백 | |
스타강사를 위한 조언 | 다짐 및 실천 |
• 강사의 마음가짐 • 스타 강사를 위한 Stop, Start, Continue |
강의 |
강사양성 고급 과정(클리닉)
교육특징
• 강의 진행의 단계를 [도입-전개-클로징]으로 구분하고, 단계별 실습 및 클리닉을 진행하여 스스로의 강의역량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학습목표
• 스스로의 강의역량 수준을 인식하여 강의 시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한다.
• 강의진행 프로세스별 실습과 클리닉을 통하여 스스로의 부족한 점과 문제점을 파악, 개선한다.
학습로드맵
- 개인별 강의역량 현황진단
- 강의 프로세스별 3단계 실습
- 개인별 피드백 & 클리닉
Module | 세부내용 | 방법 | |
---|---|---|---|
사전진단 | 도입실습 | • Opening 실습(강사소개, 동기부여, 과정소개) | 실습/촬영 |
피드백 | • 내용전달 / 강의기법 / 개인별 중점 학습포인트 제시 | 피드백 | |
Opening(도입) 기법 | 스타강사의 비밀 |
• 강의 시의 유의사항(망각 특성, 반복, 흥미, 동기 유발) • 스타강사의 교수법: 참여식 교수법 • 개인별 참여식 교수법 적용방안 수립 • 효과적인 강의 주제 전달법(Story Telling) |
강의/토의 |
Opening 기법 |
• Opening의 중요성 인식 • 단계별 Opening 기법 (강사소개, 동기부여, 과정소개) |
강의/토의 | |
Opening 실습 |
• Opening 실습준비 • 촬영 및 피드백 |
실습/피드백 | |
본론전개 기법 | 본론 전개 Skill |
• 강의 3유형 ASK : Attitude, Skill, Knowledge • 태도변형 강의 기법 TWS - Think, Write, Speak, Share, Summary • Skill 향상 강의기법 ESECE(설명,시범,실습,감독,평가) • 지식 향상 강의기법( 6X, Chunking, Out Standing…) |
강의/토의 |
본론 전개 실습 |
• 강의 유형별 교수 설계 실습 • TWS, ESECE 실습 및 피드백 |
실습/피드백 | |
Closing 기법 | Closing 기법 | • 효과적인 Closing : 요약, 동기재부여, 결론 맺기 | 강의/토의 |
Closing 실습 및 과정정리 |
• Closing 실습 및 피드백 • 스타강사를 위한 Stop, start, Continue |
실습/피드백 |
생성형 AI를 활용한 강사양성 과정
Module | Contents | Tools | Time |
---|---|---|---|
M1 강의설계의 기술 : 몰입을 이끄는 구조화 |
• 성인학습자 특징과 교수자의 변화 역할 • 성인학습자 중심 강의 설계 기법 • 몰입도 높은 강의 흐름 구성 • 항공기술(관제, 통전, 전기) 분야에 맞는 교수전략 적용 |
강의 실습 발표 피드백 |
7H |
M2 전달력 향상 : 명확하고 설득력 높이기 |
• 교수자의 비언어적 메시지 관리 (시선, 손동작, 음성) • 전문영어 전달력 높이기 • 기술정보의 스토리텔링화 |
||
M3 교수자 자기진단 및 피드백 |
• 교수스타일 진단 • 모의 강의 및 피드백 실습 |
||
M4 생성형 AI 및 Chat GPT의 교수활용 전략 |
• Chat GPT & 생성형 AI를 활용한 스팟 제작, 콘텐츠 요약, 자료 보완 • 콘텐츠의 시각자료화 (AI 이미지, 영상 도구 연계) • 교수자 입장에서 유용한 AI 도구 활용 팁 |
||
M5 디지털 자료 제작 실습 |
• Chat GPT & 생성형 AI로 교수자료 설계 실습 • 강의안 제작 보조 도구 활용 실습 |
||
M6 교수 퍼포먼스 강화 실습 |
• 모의 강의 실습 2차 • 동료 및 강사 피드백 • 나만의 교수역량 성장계획 수립 •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지속 개선 포인트 |
AI 전문 사내강사 양성과정
Module | 세부내용 | 방법 | 시간 |
---|---|---|---|
M1 생성형 AI와 AX Transformation 이해 |
• 생성형 AI의 진화와 핵심 기능 • GPT, Gemini, Claude 등의 특징 비교 • 기업 내 AI 전환(AX)의 의미 및 전략 |
강의 실습 | 2.0 |
M2 생성형 AI 기본 툴 숙련 (텍스트 중심) |
• ChatGPT, Claude, Gemini 등 활용 실습 • 프롬프트 작성법(Prompt Engineering) • 사내 활용 사례 기반 템플릿 설계 |
||
M3 멀티모달 AI 도구 실습 (이미지·음성·영상 포함) |
• 이미지 생성, 음성 인식/합성, 영상 요약 등 • Canva, D-ID, ElevenLabs, Runway 등 도구 체험 • 멀티모달 기반 콘텐츠 제작 실습 |
||
M4 사내 직무별 AI 활용 콘텐츠 기획 |
• 사내 업무/직무에 맞는 교육 콘텐츠 구성 • 공통 vs 맞춤 콘텐츠 기획 방법 • 수요자 관점 실습형 콘텐츠 구조화 |
||
M5 강의 전달 스킬과 교수설계 |
• 사내강사의 기본 스킬 (목소리/구성/설득력) • 실습 중심 교수법 & 스크립트 작성법 • FAQ 및 질문 대응법 |
||
M6 사내강의 시연 및 피드백 |
• 각자 기획한 모듈별 시연 (5~10분씩) • 동료 및 전문가 피드백 • 개선 포인트 정리 및 강의 완성 |
교육담당자 과정
교육성과 극대화를 위해 「교육담당자의 R&R에 대한 명확한 이해, 과정기획 역량 함양, 과정운영 역량 함양, 성공사례 Benchmarking을 통한 Insight 확보」에 중점을 두고 과정을 설계하였습니다.
- 교육담당자의 직무역량 분석
- 1
R&R 이해 - 2
과정기획 - 3
과정개발 - 4
교수설계 - 5
교수기법 - 6
과정운영 - 7
멀티미디어 - 8
동기부여
- 교육담당자의 직무 가치
- 양성단계별 학습내용 편성
기본 | 향상 | |
---|---|---|
1 R&& 이해 |
|
Performance Partner |
2 과정기획 |
|
우수사례 벤치마킹 |
3 과정개발 |
|
역량기반 과정개발 |
4 교수설계 |
|
Link & Bridge 우수사례 벤치마킹 |
5 교수기법 |
|
시뮬레이션,R/P |
6 과정운영 |
|
오감만족 |
7 멀티미디어 |
|
영상자료 제작 |
8 동기부여 |
|
설득 스킬 스토리텔링 |
교육담당자 역량강화 과정 세부내용
학습목표
• 교육담당자의 책임감과 사명감 고취
• 과정기획 방법론과 과정개발 기법의 이해
• 교수설계 기법과 효과적인 과정운영 기법의 이해
Module | 세부내용 | 방법 | 시간 | |
---|---|---|---|---|
M1 기업교육의 이해와 HRD R&R |
|
• 교육의 목표인 Performance의 이해 • Competency의 이해와 구조 - Traits 의 구조 / Motivation의 구조 / K,S,A의 이해 |
강의 토의 |
1.0H |
M2 과정설계기법 |
|
• 교육의 목표인 Performance의 이해 • Competency의 이해와 구조 - Traits 의 구조 / Motivation의 구조 / K,S,A의 이해 |
강의 실습 토의 |
3.0H |
|
• 교육과정 개발의 두 가지 방법론 - Performance와 Problem • ADDIE모형 기반 개발 Process의 이해 • Performance Problem 발생시의 과정개발 - 분석실습 / 설계실습 |
강의 실습 |
||
M3 교수설계기법과 교수기법의 이해 |
|
• 교수설계 6단계와 시간계획 수립 - 목적 설정 →목표설정 → 내용 선정 → 순서결정 → 교수기법 선정 → 교육시간 편성 • 강사 위주 교수기법의 종류와 특징 • 학습자 위주 교수기법의 종류와 특징 • 대표적인 참여식 교수기법 적용방안 - Gamification, 실습, 토의, RP, Simulation 등 |
강의 실습 |
2.0H |
M4 과정운영 기법 |
|
• 과정운영의 정석_ 수원시청 과정운영 사례 • 과정운영의 흐름 • 과정준비 방법과 VIP (Very Important Point) • 과정운영 방법과 VIP (Very Important Point) |
강의 실습 토익 |
1.5H |
M5 과정 평가 |
|
• KirkPatrick모형과 교육평가의 이해 • Level 1 Test의 작성법 • Level 2 Test의 작성법 • Level 3 Test의 작성법 |
강의 실습 |
1.5H |
M6 성공사례 공유 |
|
•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3년 최우수 프로그램 사례 • POSCO 조직활성화 과정 성공사례 • DSME 자부심 함양과정 성공사례 • 4차 산업혁명 관심도 제고 교육 성공 사례 |
사례연구 | 1.0H |
AI를 활용한 교육 담당자과정
Module | 세부내용 | 방법 | 시간 |
---|---|---|---|
M1 교육담당자의 역할 재정립과 사명감 |
- HRD 환경 변화와 교육담당자의 역할 - 생성형 AI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 전환 - 책임감과 사명감 강화 워크숍 |
강의 토의 실습 |
2.0 |
M2 생성형 AI의 이해와 HRD 적용 사례 |
- 생성형 AI의 개념 및 작동 원리 -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사례 분석 - 국내외 우수 사례 벤치마킹 |
강의 사례연구 실습 |
2.0 |
M3 AI를 활용한 교육과정 기획 방법론 |
- 교육 니즈 분석 자동화 - AI 기반 콘텐츠 아이디어 확장 - 커리큘럼 구성 실습 |
강의 실습 |
4.0 |
M4 생성형 AI 기반 교수설계 및 콘텐츠 개발 |
- 교수설계 이론과 AI의 결합 - AI를 활용한 교수자료/교안 생성 - 시나리오 및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설계 |
강의 실습 |
4.0 |
M5 AI를 활용한 교육운영 및 학습자 경험 디자인 |
- 챗봇 튜터링, AI 설문 및 피드백 - 개인화 학습 경험 설계 - 학습 몰입 전략 |
강의 실습 |
2.0 |
M6 종합 실습 및 발표 |
- AI 기반 교육 기획안 발표 - 전문가 피드백 및 개선 - 실무 적용 전략 수립 |
강의 실습 |
2.0 |
과정 개발 전문가 과정
교육특징
• 삼성리더십센터에서 실제 과정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경험이 풍부한 컨설턴트에 의해 과정이 진행됩니다.
• 본 과정은 교육내용 및 대상의 특성상 일정 수 이상의 교육생이 모집될 경우에 한해 공개교육 형태로 진행됩니다.
학습목표
• 과정개발의 주요 방법론과 방법론별 프로세스 및 주안점을 이해한다.
• 과정개발에 필요한 실무 기법을 학습하고 자사 교육과정 개발 실습을 통해 현업에 적용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