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과정
교육담당자 과정
교육담당자 과정
교육담당자 과정
교육성과 극대화를 위해 「교육담당자의 R&R에 대한 명확한 이해, 과정기획 역량 함양, 과정운영 역량 함양, 성공사례 Benchmarking을 통한 Insight 확보」에 중점을 두고 과정을 설계하였습니다.
- 교육담당자의 직무역량 분석
- 1
R&R 이해 - 2
과정기획 - 3
과정개발 - 4
교수설계 - 5
교수기법 - 6
과정운영 - 7
멀티미디어 - 8
동기부여
- 교육담당자의 직무 가치
- 양성단계별 학습내용 편성
기본 | 향상 | |
---|---|---|
1 R&& 이해 |
|
Performance Partner |
2 과정기획 |
|
우수사례 벤치마킹 |
3 과정개발 |
|
역량기반 과정개발 |
4 교수설계 |
|
Link & Bridge 우수사례 벤치마킹 |
5 교수기법 |
|
시뮬레이션,R/P |
6 과정운영 |
|
오감만족 |
7 멀티미디어 |
|
영상자료 제작 |
8 동기부여 |
|
설득 스킬 스토리텔링 |
교육담당자 역량강화 과정 세부내용
학습목표
• 교육담당자의 책임감과 사명감 고취
• 과정기획 방법론과 과정개발 기법의 이해
• 교수설계 기법과 효과적인 과정운영 기법의 이해
Module | 세부내용 | 방법 | 시간 | |
---|---|---|---|---|
M1 기업교육의 이해와 HRD R&R |
|
• 교육의 목표인 Performance의 이해 • Competency의 이해와 구조 - Traits 의 구조 / Motivation의 구조 / K,S,A의 이해 |
강의 토의 |
1.0H |
M2 과정설계기법 |
|
• 교육의 목표인 Performance의 이해 • Competency의 이해와 구조 - Traits 의 구조 / Motivation의 구조 / K,S,A의 이해 |
강의 실습 토의 |
3.0H |
|
• 교육과정 개발의 두 가지 방법론 - Performance와 Problem • ADDIE모형 기반 개발 Process의 이해 • Performance Problem 발생시의 과정개발 - 분석실습 / 설계실습 |
강의 실습 |
||
M3 교수설계기법과 교수기법의 이해 |
|
• 교수설계 6단계와 시간계획 수립 - 목적 설정 →목표설정 → 내용 선정 → 순서결정 → 교수기법 선정 → 교육시간 편성 • 강사 위주 교수기법의 종류와 특징 • 학습자 위주 교수기법의 종류와 특징 • 대표적인 참여식 교수기법 적용방안 - Gamification, 실습, 토의, RP, Simulation 등 |
강의 실습 |
2.0H |
M4 과정운영 기법 |
|
• 과정운영의 정석_ 수원시청 과정운영 사례 • 과정운영의 흐름 • 과정준비 방법과 VIP (Very Important Point) • 과정운영 방법과 VIP (Very Important Point) |
강의 실습 토익 |
1.5H |
M5 과정 평가 |
|
• KirkPatrick모형과 교육평가의 이해 • Level 1 Test의 작성법 • Level 2 Test의 작성법 • Level 3 Test의 작성법 |
강의 실습 |
1.5H |
M6 성공사례 공유 |
|
•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3년 최우수 프로그램 사례 • POSCO 조직활성화 과정 성공사례 • DSME 자부심 함양과정 성공사례 • 4차 산업혁명 관심도 제고 교육 성공 사례 |
사례연구 | 1.0H |